빈센조는 이탈리아 마피아 변호사가 한국으로 돌아와 부패 권력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담은 하이브리드 장르 드라마다. 코미디와 액션, 복수와 로맨스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연출과 배우들의 몰입도 높은 연기로 시청자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몰입을 선사했다. 마피아식 정의 구현이라는 색다른 콘셉트로 한국 드라마 장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화제작이다.
스토리: 이탈리아 마피아가 한국에 오다 — 법보다 무서운 복수
빈센조의 주인공은 이탈리아 마피아 ‘카사노 패밀리’의 콘실리에리(법률 자문)로 활동하던 빈센조 까사노(송중기)다. 그는 한국계 이탈리아인으로, 입양 후 마피아의 세계에 발을 들인 인물이다. 이야기의 시작은 그가 숨겨둔 금을 회수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시작된다. 빈센조는 금이 숨겨진 ‘금가프라자’라는 낡은 건물에서 벌어지는 갈등에 휘말리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실현해 나간다.
이야기의 핵심은 부패 대기업 ‘바벨그룹’과의 전면전이다. 바벨은 재벌의 탈을 쓴 악의 축으로, 불법 실험과 살인을 일삼는 기업이다. 이에 맞서는 빈센조는 법으로는 절대 이길 수 없는 상대에게 마피아식 복수와 전략으로 맞서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그는 금가프라자의 상인들과 연대하게 되고, 점차 한국 사회의 부조리와 부패의 실체를 마주한다.
스토리 전개는 빠르고 다채롭다. 정통 법정 드라마 요소에 블랙 코미디, 마피아 액션, 정치 풍자, 로맨스까지 결합되어 지루할 틈이 없다. 특히 빈센조의 이중성 겉은 냉정하지만 약자에게는 따뜻한은 캐릭터의 매력을 극대화시켰다. 기존의 ‘정의로운 주인공’ 서사에서 벗어나, 악을 이기기 위해선 더 강한 악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인상 깊게 다가온다.
중반부터는 빈센조와 홍차영이 함께 바벨그룹과 맞서며 본격적인 팀플레이가 시작된다. 한편으로는 코믹하면서도, 그 속에 숨겨진 날카로운 사회 비판이 드라마의 무게를 더한다. 특히 정의가 무력화된 사회에서 마피아가 영웅으로 보이는 아이러니는 빈센조가 던지는 가장 묵직한 질문 중 하나다.
배우: 송중기의 인생 캐릭터, 전여빈과 옥택연의 압도적 시너지
빈센조는 단연 송중기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그가 연기한 빈센조 까사노는 마피아의 냉혹함과 인간적인 따뜻함을 동시에 지닌 복합적인 인물이다. 송중기는 유창한 이탈리아어부터 정제된 한국어 대사, 날카로운 눈빛 연기까지 완벽하게 소화하며 극의 중심을 탄탄히 잡아냈다.
그와 호흡을 맞춘 전여빈은 법무법인 ‘우상’의 변호사 홍차영 역을 맡아, 초반에는 냉철하고 계산적인 이미지로 등장하지만 점차 빈센조와 뜻을 함께 하며 정의로운 인물로 성장해간다. 전여빈은 코믹과 진지함을 오가는 연기를 능숙하게 소화하며 극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그녀의 발랄한 에너지와 송중기의 시크한 매력이 충돌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며, 두 사람은 신선한 케미스트리를 만들어냈다.
악역 연기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배우는 바로 옥택연이다. 그는 ‘장준우’라는 정체불명의 인물로 등장해 초반에는 엉뚱하고 순진한 인턴처럼 보이지만, 실체가 드러나면서 강력한 악역으로 전환된다. 그의 눈빛 변화와 광기 어린 표정 연기는 시청자들에게 충격을 안기며 극의 반전 포인트를 만들어냈다.
조연진 역시 탄탄했다. 금가프라자 상인들, 법무법인 우상의 구성원, 바벨그룹 인물들까지 개성이 뚜렷한 인물들이 각각의 서사를 쌓아가며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윤병희, 김여진, 곽동연 등의 활약은 단순한 조연 이상의 존재감을 발휘했다. 전체적으로 배우들의 합은 매 장면마다 생동감을 주며, 드라마의 몰입도를 끌어올리는 중요한 축이 되었다.
결론: 복수 그 너머의 정의, 빈센조가 남긴 묵직한 메시지
빈센조는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다. 정의가 사라진 사회에서 악을 이기기 위해 ‘더 큰 악’을 동원해야 하는 현실을, 유쾌하면서도 날카롭게 풍자한 드라마다. 빈센조라는 캐릭터는 우리가 흔히 보던 영웅상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결함과 잔인함마저 인정하면서도 끝내 ‘정의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만든다.
마피아라는 다소 비현실적인 설정에도 불구하고, 극은 놀라울 만큼 현실적이다. 바벨이라는 악의 상징은 재벌, 언론, 법조계의 커넥션을 상징하고, 금가프라자 사람들은 현실 속 약자이자 시민이다. 빈센조가 보여준 방식은 잔혹하지만, 그 결말은 묵직한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를 통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지금 이 사회에 필요한 정의란 무엇인지 다시 묻게 된다. 빈센조는 그래서 ‘스타일리시한 범죄극’이자, ‘현대 사회의 풍자극’이며 동시에 ‘휴머니즘 드라마’로 평가받는다. 드라마가 끝난 뒤에도 오래 기억되는 이유는, 화려한 액션이 아닌 깊이 있는 메시지 덕분이다.
사진출처 : TVN